바로크 연주법은 모든 음을 다 아름답게 연주하지 않는다. 업보우에서 그냥 활 가는 대로 거친 소리를 내고, 중요하지 않은 음은 '0'으로 표시하고 정말 중요하지 않게 연주한다. 그런데 왜 그 음악이 아름답게 들릴까? 하나 하나의 음을 모두 반들반들 윤이 나게 연주하는 모던 음악에서 보다 더 가슴에 와 닿게 느껴지는 이유는 그게 훨씬 더 '현실'적이기 때문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회사가 문을 닫게 생겼는데 또는 부서가 통폐합이 되어 당장 실직을 걱정해야 하는데, "긍정"의 힘을 믿자고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물론 긍정적으로 세상을 보는 건 아주 중요한 일이지만, 그 긍정은 현실에 기초한 비판적 긍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긍정적인 것이 도를 지나치면 긍정이데올로기가 되는 듯하다. 긍정이데올로기를 팔면 돈이 되고 이익이 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회사나 학교나 조직에서는 늘 리더쉽 교육을 강조한다. 리더쉽을 길러야 성공할 수 있다는 둥... (그 성공이라는 게 뭔지 정의하고 말하라구...) 학생들, 신입사원들은 리더의 강연을 듣고, 리더들이 쓴 글을 읽으면서 그들처럼 되려고 애쓴다. 그리고 그 '리더'들이란, 잘 나가는 회사의 CEO거나 임원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리더쉽의 덕목으로 빠지지 않는 것이 추진력이거나 긍정의 힘인데,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그게 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덕목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자, 비판은 해봤자 너에게 도움되는 것은 없다구. 어차피 세상은 힘있는 사람들의 것이니 그들과 같아지려면 일단 세상을 받아들여봐. 네 능력으로는 그들과 같아지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피해를 보지 않고 적당하게라도 살려면 그들의 가치관에서 바라봐야 한다니까. 비판이나 비난... 은 물론 안되고, 현실을 너무 현실로 바라봐도 너에게 도움이 될 것은 없어. 부정적인 생각으로 이어져봐야 너만 우울해지고 너만 힘들어지는 거라니까.
이런 생각이 밑바탕에 깔려서, 학생들은 왜 내가 이렇게 선행학습으로 사교육으로 인해 고통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멈추고 조금이라도 점수를 더 받기 위해 학원 과외 독서실 뺑뻉이로 살게되고, 직장인들은 말도 안되는 야근이고 부당한 대우여도 그냥 참고 '긍정'하며 산다. 그리고 역시 '긍정'적으로 사는 것이 맞는 것이라고 또 생각을 한다, 리더의 글을 읽으며, 또 각종 힐링 강연을 들으며.
모던 음악이 다 그렇다는 건 아니지만, 정말 흠 없이 아름답게 흐르는 매끌매끌한 모던 클래식 연주를 들으면 (특히, 바이올린 독주라던가....) 가끔씩은 저게 맞는 건가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갑자기 그 연주가 정말 이 세상과 참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소위 상위계층들의 삶, 또는 중산층에서 발버둥 치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모던 클래식 연주는 묘하게 닮아 있는 것 같다.
버려야 하는 것은 버리고, 못생겨야 하는 것은 못생긴 채로 두고, 항상 매끄러울 수도 항상 예쁠 수도 없다는 것을 받아 들이는 것. 아둥바둥 하는 것을 멈추고 조용하게 나에게 중요한 것이 뭔지 생각해 보는 것. 그걸 할 수 있게 되면 바로크 연주도 잘 할 수 있게 될까? (지금 게을러서 연습 안해고 연주 잘 못하는 걸, 또 모던한 세상 때문이니 어쩌니 하면서 핑계대고 있는 게지... 그러니까 긍정적이지 못해서 연주도 못하는 거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