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로 위에 추가를 하자!

(아이패드로 글 쓰다가 음악듣고 다시 사파리로 돌아왔더니 글 날아감.... ㅡㅡ 피씨에서 익스플로러 창 열어 놓고 다른 작업하다 돌아와도 되는 그런 상황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나 보다. 임시저장이라도 했었어야 하는데...)

 

1. 롱톤 연습

그냥 4박자 정도로 스케일을 연습했었는데, 꽉 찬 소리로 할 수 있는 한 가장 길게 불 것.

속으로 박자를 세기 때문인지, 박자를 세면서 머리나 몸이 움직여서 그런 것인지 몰라도 박자 세는 것이 느껴지는 소리가 남. 몸을 고정하고 일정한 음을 불 수 있도록 할 것.

통을 소리로 꽉 채운다는 느낌으로 불 것.

메사 디 보체라는 말씀은 안하셨지만... 롱톤연습은 크레센도로 길게 불고 데크레센도로 마무리하도록 연습. 데크레센도가 잘 안되면 크레센도로 튼튼한 소리가 나도록 연습할 것.

롱톤연습은 필히 할 것. 스케일을 한번 하더라도 제대로 롱톤으로...


2. 셀르너

3도, 5도, 6도 음정 간격을 생각하면서 연습할 것. 펼침화음의 음정을 외워야 할 듯.

바로크오보에는 일정한 음정이 나지 않기 때문에 각 운지에서 만들 수 있는 음의 스펙트럼이 다양함. 악보에 맞는 음정을 내는 입모양이 어떤 것인지 스스로 알아가는 과정이 필요. 

입모양은 "오"상태로. 유럽 쪽에서는 모던이건 바로크건 "오"모양에 가깝고 미국에선 가끔 "이" 모양으로 하기도 한다고 함. 그러나 바로크오보에는 입 속 공간을 여유있게 가져가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오"모양을 만들어야 함.

F-A-D-A의 음정의 경우에도 입모양이 음마다 전혀 다름. 음정 간격에 맞는 입모양을 연구해야 하는 수 밖에 없을 듯.

모던오보에의 슬러를 바로크오보에에 다 적용하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에 살짝 텅잉을 해가면서 하고 슬러는 무시해도 좋은 경우가 많음. 

음이 자꾸 뒤집히는 것은 리드가 너무 얇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는 하시는데.... 음정 연습이 더 많이 되어야 하는 듯. 

음정 간격이 있는 경우에 뒤의 고음을 부드럽게 내도록 할 것 (이건 모던 오보에 레슨시간에도 늘 지적당하는 부분..ㅠㅠ)


3. Thomas Vincent Sonata No.2 악보를 읽어 올 것.

선생님이 주신 악보 중 가장 쉬운 곡인 듯. 프랑스 바로크음악과는 달리 이탈리아풍의 음악이므로 좀 과장된 듯한 느낌으로 연주해야 할 듯. 그런데.... 이 작곡가는 헨델시대에 런던에서 활동하던 영국 오보이스트이자 작곡가. 곡은 정말 좋은 것 같다. 


http://youtu.be/0krWW-WHCu0


매번 레슨 때마다 배우는 것이 정말 많고, 바로크오보에 뿐만 아니라 모던오보에 연주에도 도움이 되는 말씀이 많았다. 너무 못해서 죄송하긴 하지만, 점점 나아지리라고 믿고....

 

(문장 만들기 귀찮아서 대충 씀...)

Posted by 슈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