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버의 묵주소나타는 스코르다투라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눈으로 보고 있는 것이 귀로 듣는 것과 다를 수 있게 때문에, 이것은 바이올리니스트들에게 시각과 청각간의 계속적인 괴리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A라고 쓰여져 있지만 그것은 B 또는 G, 또는 또 다른 소리가 날 수 있는 것이다. 음표는 오선지 위의 F#이라고 되어 있지만, 그것은 한 옥타브 아래의 F일 수도 있다. 물론, 두 음 모두 다 전혀 F음과 비슷하지도 않은 소리가 날 수도 있는 것이다!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 내려가는 음일 수도 있거나, 올라가기 시작하다가 그 중간에 밑으로 뚝 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11번 소나타에서처럼 가운데의 두 현이 사실 서로 엇갈려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 현에 손가락이나 활을 대는 것 조차도 정신적으로 복잡한 체조를 하는 느낌이 들 수 있다! 비버가 이 곡을 쓰기 위하여 얼마나 어려웠을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실험을 했었을지 상상을 해보라!" - Walter Reiter
(그림 출처: http://www.jsbchorales.net/biber.shtml)
위에서 보듯이, 1번과 마지막 파사칼리아를 제외하고는 14개의 소나타 전부 스코르다투라가 사용되었다. 실제로, 예수의 생애의 신비스러움을 노래하고 있는 이 곡들은 색다른 조현법이 신비로운 느낌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듯 하다.
아래는 실제 현이 엇갈려 조현되어 있는 악기의 모습. 헤드 쪽 펙박스에서도 이 두 현은 서로 엇갈려 있을 것이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모차르트의 신포티아 콘체르탄테에서 비올라도 가끔 scordatura로 연주되는데, 그 경우에는 피치를 반음 정도 올려서 약간 높게 조율하여 비올라의 음색을 더 밝고 두드러지게 하는 경우.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이나 말러 교향곡 4번 2악장에서도 쓰인다. 18세기 이후 바이올린의 경우에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현대 음악에서는 종종 쓰이기도...
"눈으로 보고 있는 것이 귀로 듣는 것과 다를 수 있게 때문에, 이것은 바이올리니스트들에게 시각과 청각간의 계속적인 괴리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A라고 쓰여져 있지만 그것은 B 또는 G, 또는 또 다른 소리가 날 수 있는 것이다. 음표는 오선지 위의 F#이라고 되어 있지만, 그것은 한 옥타브 아래의 F일 수도 있다. 물론, 두 음 모두 다 전혀 F음과 비슷하지도 않은 소리가 날 수도 있는 것이다!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 내려가는 음일 수도 있거나, 올라가기 시작하다가 그 중간에 밑으로 뚝 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11번 소나타에서처럼 가운데의 두 현이 사실 서로 엇갈려 있는 경우에는 오른쪽 현에 손가락이나 활을 대는 것 조차도 정신적으로 복잡한 체조를 하는 느낌이 들 수 있다! 비버가 이 곡을 쓰기 위하여 얼마나 어려웠을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실험을 했었을지 상상을 해보라!" - Walter Reiter
Tuning of the strings for Biber's Rosary Sonatas
(그림 출처: http://www.jsbchorales.net/biber.shtml)
위에서 보듯이, 1번과 마지막 파사칼리아를 제외하고는 14개의 소나타 전부 스코르다투라가 사용되었다. 실제로, 예수의 생애의 신비스러움을 노래하고 있는 이 곡들은 색다른 조현법이 신비로운 느낌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듯 하다.
아래는 실제 현이 엇갈려 조현되어 있는 악기의 모습. 헤드 쪽 펙박스에서도 이 두 현은 서로 엇갈려 있을 것이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모차르트의 신포티아 콘체르탄테에서 비올라도 가끔 scordatura로 연주되는데, 그 경우에는 피치를 반음 정도 올려서 약간 높게 조율하여 비올라의 음색을 더 밝고 두드러지게 하는 경우.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이나 말러 교향곡 4번 2악장에서도 쓰인다. 18세기 이후 바이올린의 경우에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현대 음악에서는 종종 쓰이기도...